통풍 증상, 원인, 치료법
최근 우리나라도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통풍을 앓는 분들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통풍에 따른 급성 발작으로 응급실을 찾는 분들도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통풍은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라고 할 정도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오늘은 통풍 증상과 원인, 치료법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통풍이란?
통풍은 혈액중에 요산이 높은 상태로 오래 지속됨으로써 형성된 요산의 결정체가 여러 조직에 침착하여 여러 가지 증상을 유발하는 대사성 질환입니다.
→ 요산이란?
요산은 핵산의 일종인 퓨린이라는 물질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최종 대사산물입니다.
→ 퓨린이란?
퓨린은 주로 체내에서 세포의 정상적인 분해를 거쳐 혈액으로 들어가며, 소량은 특정 음식(간, 멸치, 고등어, 마른 콩류 등)과 음료(맥주, 와인 같은 알코올 음료)를 섭취함으로써 혈류로 들어가게 됩니다. 대부분의 요산은 주로 신장에서 배설되어 소변으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대변으로 배출됩니다.
갑자기 관절이 벌겋게 부어 오르면서 심한 통증이 발생한다면 통풍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통풍 환자에서 요산의 결정은 모든 장기에 침착할 수 있으며, 질병의 단계와 침범된 장기에 따라 고뇨산혈증, 통풍성 관절염, 통풍성 신질환, 통풍성 신결석증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통풍 원인
통풍은 요산에 의하여 생기는데, 요산 치가 높아지는 데는 두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한가지는 몸 안의 요산 생산량은 정상이지만 신장이 요산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이고, 또 한 가지 원인은 우리 몸이 너무 많은 양의 요산을 만드는 경우입니다.
간혹 약제 또는 유전적인 원인에 의하여 통풍이 생기기도 하며 비만, 음주, 잘못된 식습관으로인해 통풍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통풍의 원인 물질이 되는 요산은 우리가 먹는 음식물 중에도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핵산 함량이 높은 음식, 즉 육류나 등푸른 생선 등을 많이 먹는 경우, 잦은 음주나 운동량 감소로 인한 비만, 정신적 및 육체적 스트레스, 약물 등으로도 통풍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통풍 증상
통풍의 발병은 대부분 급성 통풍 발작으로 시작합니다.
통풍 증상은 주로 엄지발가락이나 발등, 발목, 무릎 등에 갑작스러운 염증이 발생해 심하게 붓고 빨갛게 변하며 열감이 발생하며, 손도 못 댈 정도로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게 됩니다.
또한 통풍 증상을 꾸준히 치료하지 않으면 통풍 결절이 울퉁불퉁 튀어나와 신발을 제대로 신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해가 갈수록 통증이 발생하는 횟수가 증가하고 관절 손상과 신장결석 등 만성 콩팥병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 통풍 통증 주요 증상
① 통풍 증상으로 엄지발가락이 붓고 견딜 수 없는 통증이 시작됩니다.
② 통풍 증상은 낮보다는 대개 밤에 더 통증이 심해집니다.
③ 뼈마디가 울퉁불퉁 붓게 되고, 빠져나가는 느낌이 듭니다.
④ 끈적끈적한 땀이 흐르면서 통증이 나타납니다.
⑤ 통풍 증상으로 속이 메스껍고 어지러우며 토할 것 같습니다.
통풍 치료법
통풍 치료의 목적은 급성기 염증을 가능한 한 빨리 완화시키고 염증이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데 있습니다.
① 관절염에 의한 통증을 감소
② 빠른 시간 내에 통풍 발작 완화
③ 관절염의 재발 방지
④ 관절 변형 예방과 신장 기능의 보호
치료는 내과적인 치료가 주가 되며 약물요법과 식이요법이 중요 합니다. 통풍 발작이 발생하면 우선 관절을 움직이지 말고 쉬게 하며 염증 부위에 얼음 찜질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풍에 대한 알맞은 약물 사용은 개인에 따라 다르고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통풍성 관절염에서는 정기적인 진찰과 검사, 꾸준한 약물 복용이 중요합니다.
사용되는 약물은 급성 통풍 발작의 치료제와 통풍성 관절염 조절을 위한 약제가 있습니다.
① 급성 통풍 관절염 치료제 : 급성통풍 발작으로 인한 부종과 통증을 경감시키고 염증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② 통풍성 관절염 조절을 위한 약제 : 알로퓨리놀 등 급성 통풍 발작이 조절된 후 급성 발작의 재발 및 통풍 결절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통풍 예방법
① 퓨린이 많은 식품 섭취를 제한합니다.
식품 퓨린 함량 (100g 기준)
적은 식품(0~15mg) | 중간 식품(50~150mg) | 많은 식품(150~800mg) |
달걀, 치즈, 우유,곡류(오트밀, 전곡제외)빵, 나머지 채소과일류 , 설탕 | 고기류, 가금류, 생선류, 조개류, 콩류(강낭콩, 완두콩, 편두류), 채소류 (시금치, 버섯, 아스파라거스) | 내장부위, 육즙, 거위, 생선류( 정어리, 청어, 멸치, 고등어, 가리비조개),발효식품(된장, 조미료)맥주, 와인 등 |
제한 없이 섭취할 수 있음 | 회복정도에 따라 소량 섭취할 수 있음 | 급성기 인 경우 증세가 심할 때 섭취할 수 없음 |
② 과다한 지방 섭취는 자제합니다.
③ 적정 체중을 유지합니다.
④ 알코올 섭취를 제한합니다.
⑤ 하루에 2ℓ(약 10컵) 이상의 물을 충분히 마십니다.
⑥ 오후 늦은 과식은 자제합니다.
지금까지 통풍 증상과 원인, 통풍 치료법, 예방법까지 알아봤습니다. 우리 식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더욱 건강 관리에 신경을 써야겠습니다.
댓글